최근 맑아지는 날씨와 자전거도로의 증가 덕분에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늘어났다.
그러면 지하철 맨 앞 칸과 끝 칸에는 자전거를 휴대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전철을 이용할 때 자전거는 어떠한 방식으로 휴대를 해야 할까?
자전거를 휴대할 수 있는 날짜는 다르다.

대다수의 노선에서는 자전거 휴대가 매일 되는 것이 아니다.
일부 노선에서는 자전거 휴대를 전일 허용하지만 그 외 경우는 일반 승객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주말 혹은 공휴일에만 지정을 한다.
1호선부터 4호선까지 관할하는 서울메트로와 5호선부터 8호선을 관리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주말과 공휴일에만 휴대를 허용한다. 그 외 평일에는 접이식자전거의 휴대는 허용하지만 탑승 시에는 접혀진 상태에서 탑승해야한다.
코레일 광역전철 경우에는 경의선, 경춘선, 중앙선, 수인선에 평일까지 자전거 휴대를 허용한다. 다만 사람이 자주 붐비는 Rh시간에는 휴대를 제한한다. 그 외 분당선과 1, 3, 4호선은 서울메트로와 동일하게 주말과 공휴일에만 허용을 한다.
그 외 9호선과 신분당선은 모든 날짜에 휴대가 불가능 하다. 그러나 접이식자전거는 접힌 상태에서 허용을 한다. 코레일 공항철도와 인천 1호선은 주말과 공휴일에 휴대를 허용한다.
역에서 자전거 탑승금지, 역 안에서 질서를 지키자
자전거를 휴대를 하더라도 역 안에서는 다른 승객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질서를 지켜야 한다.
일단 자전거는 역에 있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의 탑승이 금지되어있다. 자전거는 계단 가장자리에 있는 경사대나 없을 경우 들고 계단을 걸어야 한다. 또한, 승강장 및 맞이방에서는 절대 자전거 탑승이 금지되어 있다. 반드시 자전거는 끌고 다녀야 한다.
열차 안에서 지켜야하는 질서
열차는 맨앞 칸과 뒤 칸의 탑승을 허용 한다.
탑승을 하면 자전거는 거치대에 거치를 하면 된다. 다만, 휠체어 거치대에 거치는 불가능하다.
또한 열차 안에서는 절대 자전거를 탈 수 없다. 반드시 끌고 다녀야한다. 자전거 휴대 중 본인의 부주의 생긴 안전사고는 휴대자에게 책임을 있음을 명시해야 한다.
중앙선 자전거 전용열차를 이용하자

코레일 광역전철을 자전거이용객을 위한 자전거 전용열차를 중앙선에 운행을 하고 있다.
자전거 전용열차는 접이식 의자옆에 바로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특히 자전거 전용열차는 모든 칸에 휴대가 허용한다.
또한 좌석은 자전거 휴대한 사람이 우선적으로 앉는 것으로 되어 있다. 자전거 이용자는 시간을 맞추어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본다.
청춘 IT경의중앙선과 X, 지하철 1~9경춘선등 교외 전철과 호선등 총망라하여 정리
주말이나 공휴일, 평일 자전거 탑승 이용 가능요일과 시간대, 이용팁까지 정리해봅니다
전철에 자전거를 탑승할수 있도록 허용한 후에 자전거를 가지고 춘천이나 용문등 먼 교외까지 자전거로 여행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필자는 자전거로 열차 이용을 하자하다보니 꼴불견들도 많이 보이고, 일부는 자전거 이용이 안되는 날도 탑승하는 등 자전거 이용시 이에 따르는 에티켓들도 따라 성숙해져야 필 필요성들을 자주 느낍니다
수도권 1~9호선과 분당선과 신분당선, 경의중앙선과 경춘선, ITX등에서 전철을 이용하는 방법을 총정리해봅니다
24*7로 자전거 이용이 절대 불가능한 곳
바로 신분당선과 9호선입니다
주말과 평일 관계없이 자전거 이용이 절대 이용이 불가합니다
[신분당선 _자전거 탑승 절대금지구역]
주말과 공휴일만 가능한곳
지하철 1~8호선,
평일과 주말 모두 이용이 가능한 노선과 자전거
경의중앙선과 경춘선은 주말 평일 모두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평일 출퇴근시간대(7~10, 17~20시)에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접이식 자전거는 접어서 주말 평일 모두 이용이 가능합니다
청춘 ITX
평일 주말 할것없이 자전거 좌석에만 탑승할수 있습니다
출퇴근 시간대 무관 자전거 이용이 가능합니다
평일이나 주말에 자전거 이용시 에티켓을 잘 지켜야 하는데요
가장 기본적으로 첫째나 마지막칸에 탑승해야 합니다
참고로 첫째문(1-1)이나 마지막문(10-4)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전거를 타고 지하철 구내 플랫폼을 다니면 안됩니다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 탑승은 금지되어있습니다
전철에 자전거싣고 다닐 때 앞브레이크를 걸어두면 자전거가 이동하지 않아서 좋습니다
여자분들 머리끈이나 노끈으로 잡아주면 좋은데요
폐 튜브를 잘라서 핸들바에 걸고 다니다가 브레이크를 걸어두면 좋습니다
지하철 자전거 이용시에는 무엇보다도 일반 승차객들에게 불편함을 제공해서는 안될것입니다
들뜬 마음에 큰소리나 승객들 옷에 바퀴등이 안닫도록 조심하여야 할것입니다
출처: https://passionfactory.tistory.com/25 [초원길의 통하는 세상]
'내거지 모 > 나의 일상 그리고 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와 전철이 만났을 때 (上) - 힘은 덜 들게, 거리는 더 멀리 (0) | 2019.10.05 |
---|---|
자전거와 전철이 만났을 때 (下) - 남한강·북한강·섬강 자전거길 전철 연계코스 (0) | 2019.10.05 |
선선한 가을을 만끽하기 좋은 자전거길 코스 Best 4 (0) | 2019.10.05 |
커피빈 헤이즐넛 아메리카노, 스틱형커피, (0) | 2019.09.28 |
9200대 1.. 2019년 최고 국내여행 사진 어디서 찍었을까? (0) | 2019.09.24 |